|
 |
|
▲ 녹색농촌체험마을인 장평면 화산리 꽃뫼마을을 방문한 초등학생들이 맥문동을 들어 보이며 즐거워 하고 있다. |
현재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농촌마을을 위한 다양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쇠락해가는 농업의 위기를 막고 지속가능한 농촌, 잘사는 농촌을 만들기 위함이다. 또 농촌을 전통으로 복원시켜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도시민들에게는 농촌에서 옛 정취를 느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복합문화휴식 공간’으로 농촌을 변모시키는 데에도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런 마을가꾸기 사업이 전통으로의 복원이나 사람을 가꾸어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어 가기보다는 시설중심의 사업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농업과 농촌의 현장성이 떨어지는 상당수의 컨설팅 업체들이 마을과 주민의 특성, 기후와 토질, 역사와 자연환경을 고려치 않는데다 초고령화 사회라는 점을 간과해 비현실적이고 천편일률적인 계획서를 만들어 납품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마을운동처럼 농촌경관을 해치는 사례도 있고, ‘정부 돈은 보는 사람이 임자’라는 식의 예산낭비 사례도 발견되고 있다. 또 주민 간 혹은 마을간 나눠 먹기식의 개발형태나, 불투명한 회계로 인한 주민갈등의 요인이 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또 작금에 이르러 주민 소득창출이나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만들기 보다는 컨설팅업체와 토목업체의 배를 살찌우는 사업이라는 비판을 받는 경우도 많다. 지역별로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만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매일 오가고, 자식들이 뛰어노는 동네환경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많은 관심과 기대,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들은 바로 주민들이다.
따라서 주거환경 개선과 관련된 사업에 있어서 주민들이 주도하는 사업형태를 꾸준히 개발하고, 시행해서 만족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청양 역시 예외 일수는 없다. 이에 본지에서는 6회에 걸쳐 정말 잘사는 농촌, 생동감 있고 정겨움이 묻어나는 청양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현재의 마을가꾸기 사업을 진단하고 타 지역 사례를 6회에 걸쳐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청양에서 추진되고 있는 마을가꾸기 사업 현황을 집어보기로 하자.
[글싣는 순서] 1. 청양군 마을가꾸기 사업 추진현황 2~3. 현장 인터뷰를 통한 분석 4~5. 타 지역 사례 ① 주민 중심 마을가꾸기 사업 ② 어메니티 자원 활용 선진사례 6. 올바른 마을가꾸기 방안 모색
도시민 여가 유치 농촌 소득으로 현재 청양군의 마을가꾸기 지원사업은 녹색농촌마을 12개, 전통테마마을 1개, 산촌생태마을 6, 정보화마을 2개와 마을종합개발사업 1개 단지가 있다. 녹색농촌체험마을의 경우 주5일 근무제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도시민의 여가수요를 농촌으로 유치해 농외소득 증대와 농촌지역 활력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농림부(농촌진흥과) 주관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총 2억원(국비 1억원, 도비 3000만원, 군비 7000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주민복지시설, 농촌체험기반 및 시범시설, 마을경관 조성사업 등이 이뤄진다. 청양군의 경우 현재 12개의 마을이 선정돼 사업이 육성되고 있는데, 지난 2005년 비봉 관산리 은골구기자마을을 선두로 장평면 화산리 꽃뫼마을, 대치 광금리 칠갑산산꽃마을, 대치 장곡리 장곡마을이 체험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또 남양면 용두리 용꿈꾸는마을, 장평 지천리 까치내마을, 목면 화양2리 가마골마을은 막 공사가 완료돼 체험객 유치를 위한 본격적 활동을 앞두고 있다. 운곡 후덕리 고인돌마을, 화성 화암리 물여울마을, 화성 현암리 금바위마을, 비봉 방한·용천리 등 4개 마을은 올 말을 완공목표로 한창 공사 추진 중이며, 정산 마치1리 감나무골마을은 현재 사업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군에서는 이들 체험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마을사무장을 지원하고 있고 마을주민과 담당공무원에게 농촌관광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도농교류활성화를 위해 자매결연 및 여러 대외 홍보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전통테마마을로는 대치 상갑리가 유일하며 녹색농촌체험마을과 같은 맥락에서 지난 2003년 2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조성됐다.
농어촌 정보컨텐츠 조성 산촌생태마을은 낙후된 산촌지역의 생활환경개선과 소득기반 조성을 통해 산촌주민의 소득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 살기 좋은 산촌마을을 만들기 위해 산림청에서 실시하는 지역균형발전 사업이다. 현재 지역에서는 6곳이 선정 조성 중으로 한 마을당 12억에서 14억까지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대치 오룡리의 경우 2000년 완공됐고 장평 도림리는 2003년, 대치 광금리는 2007년, 정산 남천리는 올해 완공됐다. 대치 장곡리와 정산 백곡리는 내년부터 공사에 착수, 2010년까지 조성될 예정이다.
산촌생태마을에는 주로 △상·하수도, 마을안길정비 등 생활환경 개선사업에서부터 △표고재배단지 조성 등 소득기반 조성사업 △산림문화회관, 산림체험관, 산채 체험장 등이 조성된다. 정보화 마을은 농어촌 정보화 소외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이용환경조성과 정보컨텐츠를 조성해 지역 주민의 정보생활화를 통한 지역 계층간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추진됐다.
현재 군에서는 목면 안심리(대표 장수비)와 대치 상갑리(대표 성욱) 2곳이 운영되고 있다. 목면 안심리는 전자상거래형으로 사업비 총 4억7천5백만원(국비 3억원, 도비 5000만원, 군비 1억2500만원) 들여 지난 2003년 6월 개설해 구기자 고추 마을로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는 정보화 마을센터가 증축돼 있고 홈페이지 구축과 함께 컴퓨터 100대를 주민에게 보급했다.
또 대치면 상갑리는 체험테마형으로 지난 2004년 11월 개관했다. 칠갑산 가파마을로 운영되고 있는 상갑리는 총사업비 1억8000만 원이 투자됐으며, 정보화 센터 리모델링을 거쳐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고 주민들에게 컴퓨터 65대가 보급됐다.
이밖에 이들 두 마을에 대해 2007년부터 군에서는 한시적(3년)으로 프로그램관리자를 지원해주고 있다.
|
 |
|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한창 추진 중인 정산면 천장리 알프스 마을의 전경. | 농민 삶의 질 향상 지역역량 강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농림부가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추진하는 사업으로, 사업권역으로 지정되면 70억원 가량이 지원되며 현재 전국 176곳이 지정돼 있다. 서류심사와 예비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사업대상지로 선정되는데, 청양의 경우 정산면 서정·역촌·용두·천장·마치리 등 5개 마을이 대상지로 선정됐다.
종합개발사업은 연차적으로 5년씩 2단계에 걸쳐 진행되는데 1단계에 41억8800만원, 2단계에 21억2000만원이 투입돼 총 사업비 63억900만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이 사업은 자연환경 보전사업, 삶의 질 향상사업, 지역경제 활성화사업, 지역역량 강화사업 등 4개 사업으로 분류돼 시행되는데 우선 1단계 사업으로 서정1리에 마을회관 리모델링, 용두리에 장승공원·장류가공시설·구기자체험관·어린이동물체험장, 천장리에 도농교류종합센터·웰빙체험농원 등이 들어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