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에서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주민주도의 지역만들기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 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가 과거 대다수 국민들의 참여를 가져왔던 70년대 새마을운동 이상으로 온 국민의 호응을 받는 국민생활운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는 각 시군구가 읍면동을 통해 주민들에게 마을의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마을가꾸기 사업을 공모하고, 10개 우수한 사업에 대해 2,000만원 내외의 예산을 지원하여 계획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업입니다. 이는 종래와 같이 획일적이고 위로부터의 지역개발 방식이 아닌 주민주도의 지역특성을 살린 아래로부터의 지역만들기로서 「21세기 새로운 커뮤니티 운동」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전국의 232개 시군구 중 157개(67.6%) 시군구가 참 살기좋은 마을 가꾸기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특히 전국 16개 시도 중 인천, 광주, 대전, 충남, 경남, 제주 지역은 전 시군구가 참여해 마을 가꾸기에 대한 높은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외국 조사기관에 의해 생활의 질이 낮은 것으로 조사된 서울특별시와 부산, 대구광역시의 경우는 참여가 부진한 실정입니다.
한편, 고양시, 남양주시, 남원시 등 일부 지자체는 주민공모를 완료한 곳도 있지만, 대부분의 지자체가 곧 주민들의 공모를 앞두고 있어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남양주시의 경우, 공모결과 8읍 3면 3동에서 14대 계획이 접수되었으며, 정문분수대 설치·울타리 장미·방음벽 담쟁이 식재·폐쓰레기장 쉼터 조성 등을 기획한 "살기좋은 아파트 만들기" 사업, 마을명·마을로고 선정·마을 표지판 설치 등을 기획한 "중말마을 정체성 확립"사업, 취약지 대청소·가로화단조성 등을 기획한 "명품 골목길 만들기" 사업 등이 접수되었습니다.
11월말에는 행정자치부에서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 콘테스트르르 개최하여 BEST 10 우수마을을 선발·시상함으로써 우수사례가 확산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것이며, 지자체를 독려하기 위해 광역지자체 차원에서는 최우수 1개, 우수 9개, 장려 20개 지자체를 선발하여 특별교부세로 재정인센티브를 부여하여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 전국적 열풍을 몰고 갈 계획입니다.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의 추진은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마을의 잠재력을 토대로 한 주민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발현되는 계기를 마련할 것입니다.
*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 사업이란, 각 시군구가 꽃밭·소하천 가꾸기, 담장 허물기, 쉼터·녹지 조성, 취약지 대청소 등 마을의 생활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소규모 마을가꾸기 사업(2,000만원 정도)계획을, 주민을 대상으로 공모하고, 접수한 계획 중 우수한 사업계획을 선정하여 계획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지자체 우수계획 선정사업이 행정자치부 차원에서 전국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각 부처 지역개발 관련 정책패키지를 포함한 마을재창조 종합계획을 공모하고 30개의 지자체 및 해당마을을 선정하여 선정된 지자체와 주민이 협력하여 사업을 추진하는데 비해,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는 전국의 각 지자체가 해당 주민들을 대상으로 소규모 마을가꾸기 사업계획을 공모하고 우수계획을 선정·지원하여 주민이 직접 사업을 실행하는 사업입니다.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 추진현황
□ 사업추진 지자체 : 232개 지자체 중 157개
○ 서울(2/25) : 구로구, 용산구
○ 부산(1/16) : 기장군
○ 대구(1/8) : 남구
○ 인천(10/10) : 중구, 동구, 남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 광주(5/5) :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 대전(5/5) :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 울산(3/5) : 중구, 울주군, 남구
○ 경기(18/31) : 수원시, 고양시, 부천시, 안양시, 용인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군포시, 파주시, 구리시, 김포시, 포천시, 안성시, 의왕시, 양주시, 양평군, 과천시, 연천군
○ 강원(16/18) :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 충북(11/12) : 충주시, 제천시, 청원군,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 충남(16/16) : 천안시, 공주시, 보령시, 아산시, 서산시, 논산시, 계룡시, 금산군, 연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당진군
○ 전북(13/14) : 전주시, 군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 전남(17/22) :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경북(17/23) : 포항시, 경주시, 김천시, 안동시, 구미시, 상주시, 문경시, 군위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 경남(20/20) : 창원시, 마산시, 진주시, 진해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 제주(2/2) : 제주시, 서귀포시